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은 인증서비스 중의 하나입니다. 한국말로 해썹이라고 발음합니다.
식품의 안전성을 자율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관리체제라고 할 수 있죠.
현재 식품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국민건강을 위해 수입 식품에 대한 규제를 위해서도 HACCP의 적용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HACCP을 식품 가공장 위주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식품안전성을 더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원재료의 생산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이르는 푸드체인(Food Chain) 전체를 관리해야 하겠습니다.
소소한 이야기로 다시 시작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식품을 살 때 어떤 것을 보시고 고르십니까? 아마도 가격, 중량, 신선한 정도, 유통기한 이런 것들을 유심히 보실 겁니다.
하지만 식품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HACCP 인증 마크가 있는지 보시는게 정확합니다.
해썹이 무엇인지 아직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다시한번 해썹에 대해서 그림으로 보겠습니다.
출처 : http://www.haccpkorea.or.kr/info/info_01_01.do?menu=M_02_01
여기서 위해요소분석이란 말그대로 위해요인을 파악해 놓는다는 것입니다.
중요관리점이란 중요하게 관리 즉 필수적 관리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죠.
합치면 위해방지를 위해 사전 예방하는 식품안전관리체계를 뜻합니다.
해썹(HACCP)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 국제기구(Codex, WHO, FAO)에서도
해썹을 적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좋은 해썹을 우리도 알고 식품을 구매해야겠죠?
해썹 인증 마크를 한번 보겠습니다.
HACCP 심벌
HACCP 지정업소 현판 견본
이제는 안전한 해썹 인증 식품을 구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마지막으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홈페이지를 링크합니다.
HACCP에 대해서 더 많은 정보를 아시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이용하세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뻘]
위의 안내를 토대로 해썹을 다시 풀어보면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이 해썹의 전반적인 보급을 위해서 한글명칭을 변경했습니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으로 변경했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저는 더 헷갈리는군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