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

브라질 땅콩효과 Brazil Nut Effect

by 즈칸루하 2015. 7. 31.

 

브라질 땅콩효과 - brazil nut effect

미국인들이 자주 먹는 시리얼! 시리얼은 우유에 각종 견과류를 타서 먹는 겁니다.

견과류는 보통 캔에 보관되어서 소비자들에게 공급되는데,

캔의 뚜껑을 열어보면 항상 크기가 큰 견과류들이 제일 위쪽에 있고 (이게 보통 브라질산 견과류랍니다.)

크기가 작은 것들은 캔 아래쪽에 있는 것을 보고 브라질 땅콩효과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요근래 MRI까지 동원한 후에야 그 과정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합니다. 인류의 몇 가지 난제 중에 하나라네요.

 

 

브라질 땅콩효과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쌀과 보리가 이러한 모습을 보이죠. 쌀,보리를 섞어두고 몇 번 흔들어보고 뚜껑을 열어보면,

크기가 조금이라도 큰 보리가 위로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또 다른 예로는 차를 담아두는 차통에서 발견됩니다. 제일 위쪽에는 멀쩡한 찻잎이 있고 아래쪽에는 바스라진 찻잎이 발견됩니다.

 

그런데, 이게 인류의 난제라고요?

간단하게 생각해보면 밀도가 높은 작은 물체는 밑으로 내려가고 밀도가 낮은 물체는 위로 올라가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현상이 역으로 발생하는 역 브라질 땅콩효과도 있으므로, 저렇게 단순한 생각만으로 될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 현상으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예가 시멘트를 운반하는 레미콘입니다.

알갱이가 골고루 섞여 있도록 계속해서 통을 돌리면서 운반을 합니다.

 

아래는 이 현상을 잘 설명한 듯한 영상입니다.........만 영어로 설명하고 있어서 영어가 되시는 분에게

더 좋은 설명인 듯합니다. 꼭 언어를 잘 모른다고 하더라도 영상이므로 대부분 이해가 되실 겁니다.

 

Granular convection - 알갱이 대류현상 정도로 해석되겠군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