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좋아하시는 분들은 이런 오류 자주 접하시게 될 겁니다.
steam_api.dll 관련 또는 steam_rid.ini 오류를 보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가 검색해보니 모두 steam_api.dll파일 링크 걸고 다운로드 받아서 오류를 해결하라고 하시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물론 제대로된 파일이 있어서 올리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악의적인 또는 어떤 목적을 위해서 잘못된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이 포함된 파일을 배포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듯합니다.
그 전에 steam_api.dll 오류가 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dll 오류는 대부분 해당 dll파일이 없어서 생기는 오류인데요.
dll파일은 기본적으로 exe파일의 참조용 파일이므로 참조할 수 있는 dll이 없으면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스팀관련 게임을 하시다보면 이런 오류를 종종 보시는데요.
컴퓨터에 설치된 백신이 이 steam_api.dll 파일을 바이러스라고 판단해서 치료보관소로 이동시키거나 삭제시켜서
대부분 게임 실행시에 이 오류를 만나시게 되는 겁니다.
우선 이 steam_api.dll 오류가 발생한다면 저는 그냥 스팀(steam)을 재설치할 것을 권합니다.
스팀홈페이지는 위그림처럼 검색하시면 바로 나오니 참고하시고요.
스팀 인스톨도 금방 끝나니 그냥 재설치하는 것을 적극 권장해드립니다.
게임오류 잡으려다가 컴퓨터 사용에 문제가 생기면 곤란하지 않나요?
그리고 계속해서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사용중이 백신프로그램에 스팀관련 폴더는 예외로 두시고 백신운용하시면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사용중인 백신 프로그램이 없어서 적절한 예는 되지 않지만 네이버 클리너의 경우 [제외 프로그램 관리]라는게 있군요.
네이버 클리너는 프로그램 단위로 제외 목록을 관리하는데요.
대부분은 폴더 또는 디스크단위로도 관리가 가능하니 자주하시는 스팀관련 게임폴더를 예외폴더로 두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