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관련 또는 한영변환 관련 프로그램은 입력도구모음(ctfmon.exe)입니다.
그래서 잘되다가 한글이 안써질때는 이 ctfmon.exe파일을 확인해봐야하는데요.
오늘은 ctfmon.exe파일을 설정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간단하게 ctfmon.exe를 열어보도록 할까요?
윈도우 시작메뉴를 클릭 후 ctfmon이라고 입력하면 아래처럼 해당 파일이 보여집니다.
클릭해서 누르시면 되는데요.
사실 실행되었는지도 잘 모르실거에요. 왜냐하면 윈도우 오른쪽 하단의 트레이아이콘으로 실행되기 때문입니다.
아래처럼요.
혹시 한글이 안써졌는데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이제 한번 한영변환 키를 누를 후 한글을 써보세요.
아마도 한글이 써질거에요.
사실 이렇게만 해도 안써지던 한글이 다시 써질건데요. 매번 이 문제로 고생하면서 일일이 실행시켜 줘야하니 귀찮습니다.
시작프로그램에 등록해서 컴퓨터 부팅시에 자동실행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시작 시 자동실행하는 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느 법을 소개해 드려볼께요.
Win + R 단축키를 눌러서 실행창을 여신 후 regedit을 입력한 후 엔터를 쳐보세요.
그럼 이렇게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뜨는데요.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조금 길지만 위와같은 경로를 찾아 들어가 줍니다.
이 곳이 시작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레지스트리 부분인데요. ctfmon.exe를 등록해 보기로 합니다.
오른쪽의 빈곳을 마우스 우클릭으로 [새로 만들기 > 문자열 값]을 선택해서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어 줄께요.
이름은 나중에라도 알아보기 쉽게 ctfmon으로 해주세요.
그럼 위 그림처럼 될텐데요. 다시 ctfmon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수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여기에 ctfmon.exe 파일이 있는 정확한 경로를 입력해줍니다.
확인 버튼으로 완료를 해주시면 이제 시작프로그램에 등록이 된겁니다.
안믿기시나요? 확인해볼까요?
단축키 Win+R 키로 실행창을 여신 후 이번에는 msconfig를 입력 후 엔터를 누르세요.
그러면 시스템 구성도구가 뜰텐데요. 상단 탭에서 시작프로그램을 선택해줍니다.
자세히 보시면 Microsoft Windows Operating Stytem으로 된 시작항목이 보일겁니다.
명령 부분을 보시면 아까 내가 저장한 ctfmon.exe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스팅이 조금 길어졌습니다만, 알려드리는 김에 확실하게 안내해 드리다보니 길어졌네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