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차대번호 조회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먼저 차대번호란 무엇인지 잠시 살펴볼까요? 차대번호란 영어줄임말로 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의 약자)이라고 합니다.
정확하게는 차량식별번호인데요.
차량도난방지와 차량결함추적을 위해서 부여한 일종의 꼬리표라고하는군요.
대부분 대시패널 또는 크로스멤버에 붙어있어서 확인이 가능하답니다. 물론 자동차 등록증에도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차대번호는 총 17자리로 되어있는데요. 앞의 1~3자리는 제작자를 표시하고, 그 다음 4~11자리는 자동차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나머지 12~17자리는 제작일련번호입니다.
|
| |
|
|
그럼 이런 차대번호를 조회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자동차기술연구소라는 사이트에서 검색 및 조회가 가능한데요.
이렇게 네이버로 검색하면 바로 찾아가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기술연구소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상단메뉴 중 [연구자료 > 차량정보확인] 의 순서로 선택해서 들어가시면 간단하게 차대번호 조회페이지로 가실 수 있습니다.
[차량정보확인 > 차대번호조회]를 다시 선택하시면 아래처럼 차대번호 조회를 할 수 있는 메뉴가 보이실 겁니다.
이제 입력필드에 조회할 차대번호를 입력 후 [조회]버튼을 클릭하시면 되는데요.
차대번호 17자리를 모두 입력하실 필요는 없고 11자리만 입력해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번호를 넣고 조회하니 알림메시지가 먼저 뜨는군요. 자세히 한 번 읽어보시고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제 새창이 하나 뜨면서 내가 조회한 차대번호에 해당하는 차량정보가 아래처럼 나옵니다.
국적부터 시작해서 제작년도와 제작사, 차종 등 특성까지 모두 나오는군요.
이렇게 차대번호 조회하는법에 대해서 안내해 봤는데요. 생각하신 것 보다 많이 간단하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