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넷

과학탐구보고서 양식과 멋진 주제 정하는 법 그리고 ...

by 즈칸루하 2015. 8. 6.

 

방학 잘 보내고 계신가요.

방학 하면 떠오르는게 방학숙제입니다. 즐거웠던 놀이와 가족간의 여행이 떠올라야하는데

안타깝게도 방학숙제가 떠오르는게 약간 씁쓸합니다.

하지만 결국 학생의 신분이니 어쩔수 없는 일이기도 합니다.

 

몇 가지 숙제가 있겠지만 오늘은 과학탐구보고서 쓰는법에 대해서 살펴볼까합니다.

더불어 그 양식과 주제를 정하는 법에 대해서도 같이 알아볼께요.

 

 

과학탐구보고서를 잘 쓰려면 우선 그것이 무엇인가부터 살펴봐야겠죠?

과학탐구보고서는 과학+탐구+보고서입니다.

여기서 탐구란 무엇일까요? 탐구란 합리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사고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자연스럽게 과학탐구란 과학에 대해서 발견하고 정의하며 실험하여 합리적이며 창의적인 방식으로 사고하는 과정을 말하겠죠.

 

과학탐구보고서 주제를 정하려면 먼저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탐구를 할 것인지 정해야합니다.

 

탐구하는 방법에는 크게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이 있습니다.

연역적 방법은 우선 가설을 세운 후 그것을 검증하는 방식이며 귀납적 방법은 개별적인 여러가지 사례를 종합해서 일반적인 명제로 확립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보고서의 주제를 정할 때 이 두개의 범주를 먼저 선택한 후에 정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연역적 탐구방식을 선택한다면, 일단 가설을 세운 후 실험 및 결과분석을 해야합니다.

주제 : 모기는 몇마리의 알을 낳을까?

실험 : 모기를 잡아서 유리병에 배양 후 몇마리의 유충이 생기는지 관찰

분석 : 모기 2~3마리에 유충이 몇마리이니 한마리당 몇개의 유충을 낳는것 같다.

결론 : 모기는 대략 한마리당 몇마리의 유충을 낳는다.

 

귀납적 탐구방식은 생략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제를 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보통 주제를 제목과 혼동해서 더욱 더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보고서의 제목은 주제를 몇마디로 압축하는 것이라 주제를 정하면 제목을 정하는 것은 쉬워집니다.

여러분은 제목을 주제로 혼동하고 계시지는 않나요?

사실 이제까지 사설이 길었습니다.

 

 

과학탐구보고서 주제 정하는 법

1.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를 주제로 정하라.

  남들이 한다고해서 또는 쉬울 것같은 주제를 하기보다는 내가 잘하는, 내가 좋아하는 주제를 해야합니다.

  식물을 관찰해야하는 주제가 쉬워보여서 식물과 관련된 주제를 한다면 제대로된 보고서 작성이 어렵습니다.

  관찰과 실험이 약간 어렵더라도 관심분야의 주제를 정하세요.

 

2. 범주가 큰 주제를 정했다면 이제 주제를 세부적으로 나누세요.

  설마 "우주의 법칙" 이런 주제를 과학탐구보고서 주제로 사용하지는 않겠지요?

  할 수 있는 한 세부적인 탐구영역으로 나누어서 그 중에 하나를 주제로 선택하세요.

 

  "우주의 법칙" > "태양계 위성" > "행성의 공전" > "달의 공전" > "달의 공전과 달의 모양"

  위의 예처럼 작은 단위의 탐구영역으로 좁혀가면 주제정하기가 좋아요.

 

3. 이제 주제를 정했으면 멋진 제목을 붙여야겠죠.

  제목은 최대한 멋지게 입니다. 과장되어도 좋고 은유적인 표현도 괜찮아요. 다시 위의 예를 들어볼께요.

 

  "달의 공전과 달의 모양"이라는 주제를 정했다면 제목은 "초승달이 보름달이 되는 이유" 또는 "달의 모양으로 보는 우주의 법칙"

  이런 식으로 제목을 정해주면 되겠습니다.

 

요점정리 

관심분야 주제 정하기

주제를 작게 쪼개어 정하기

제목은 최대한 멋지게 지어라

 

과학탐구보고서 양식 및 작성법

1. 제목 : 위의 내용을 참고하세요

2. 성명 : 본인의 학번과 학반 이름 등을 기입해주세요.

3. 과학탐구의 동기 : 보고서를 쓰게 된 동기를 간략하게 적어주세요.

4. 목표 : 과학탐구를 통해서 알려고하는 것을 적습니다.

5. 준비물 : 탐구를 위해서 필요한 것들을 적습니다.

6. 탐구 방법 : 구체적일수록 좋습니다. 어떠어떠한 방법으로 관찰, 실험 등을 할 지 적어줍니다.

7. 결론 : 보고서의 결론입니다. 탐구로 인해서 알게된 부분에 대해서 과학적 결론을 내립니다.

8. 기타 : 탐구 중 생긴 의문점과 더욱 더 탐구하고 싶은 분야 등을 적습니다.

9. 참고자료 : 관찰과 실험 외에 서적 등을 인용했다면 참고한 문헌에 대한 정보를 적어 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