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 낚이지 않았길 바란다. 엑셀 Sum함수 관련 글이다.
엑셀은 기본적으로 사칙연산이 가능하다. 셀 안에서도 가능하지만 셀과 셀끼리의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가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물론 숫자인 경우에 한해서이다.
형식은 [등호 셀번호 + 셀번호 + 셀번호 ....]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C4+D4+E4] 간단하다. 아주 간단하다. 다른 방법도 있다.
sum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sum(범위)] 이다. 범위는 [셀번호:셀번호]로 표현된다.
위 예를 이용한다면 이렇다.
[=sum(C4:E4)]
이렇게 텍스트로만 설명하면 어려울 수도 있겠다. 아래에서 간단한 예제와 함께 그림으로 알아보자.
정말 간단한 예제를 하나 준비했는데, 확인해보기 바란다. 필자는 합계 부분의 빈칸을 더하기 또는 합계함수Sum을 이용해서 채워보려고 한다.
먼저 엑셀 더하기를 해보겠다.
홍길동에 해당하는 라인의 합계부분에 등호(=)를 입력 후 마우스로 국어점수 부분을 클릭해보겠다.
이제 여기서 플러스(더하기)기호를 입력 후 다시 영어를 클릭한다.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수학을 클릭준 후 엔터를 입력하자.
이런 식으로 셀간에 더하기를 해주어서 합계를 도출할 수 있다.
이제 조금 다른 방식으로 sum함수를 이용해서 합계를 내어보자.
철수의 합계를 sum함수로 만들어보자.
=sum( 까지 입력 후 마우스 드래그로 국어부터 수학까지 선택해 주자.
그리고 괄호())를 닫아 준 후 엔터를 치자.
합계가 쉽게 나왔다. 엑셀 더하기와 엑셀 sum함수 차이를 알수 있을 것 같다.
엑셀 더하기는 위 예제처럼 더할 항목이 별로 없을 때는 사용해도 큰 무리가 없어보인다.
하지만 항목이 몇 십 건만 넘어가도 아주 힘들어진다.
될 수 있으면 엑셀 더하기를 할 경우 sum함수를 사용하는게 정신건강에 좋을 것이다.
마지막 순희는 직접 입력하지 않고 버튼을 이용해서 sum함수로 합계를 내어보자.
아래 빨간펜으로 안내한 함수기호 부분을 클릭하자.
함수 마법사 창이 뜬다. 가운데 쯤 [함수 선택] 리스트에 보면 보통 두번째에 sum이 보일 것이다.
선택 후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함수 인수] 창 변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범위를 마우스 드래그로 선택해 준다.
엔터를 치던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완료될 것이다.
간단하게 함수 버튼을 이용해서도 sum함수를 사용해봤는데, 자신에게 편한 방식대로 함수를 사용하면 될것이다.
댓글